
Education
임상약리학과 수련 과정은 총 3년이며, 레지던트 과정 3년차에 대한
임상약리학회 자격 시험을 합격하면 인정의 자격이 주어집니다.
Residency training goal
임상약리학 연수의사(전공의) 3년 과정
의사 자격증 취득 및 최소 1년의 수련의(인턴) 과정을 이수한 후, 대한임상약리학회가 인정하는 수련병원의 수련 프로그램을 통한 임상약리학 연수의사 수련과정
임상약리학 인정의 수료
대한임상약리학회(KSCPT) 인정의 수료

임상약리학 인정의
대학병원, 제약회사, 국내외 규제기관(FDA, 식약처), 로컬 임상시험센터 등
각 분야에서 리더로서 역할
- · 국내 의과대학 임상약리학교실, 약리학 교실, 병원 임상시험센터 교수요원
- · 국내외 제약회사의 신약개발 전문가
- · 규제기관의 책임자
전공의 1년차
이론
: 기본 이론 습득
실무
: 전문 실무 수련
교육
: 교육자적 능력 향상
과업 | 구분 | 설명 |
---|---|---|
약동역학, 통계학, 임상시험 기초과목 | 이론 | 기초적인 학과 과목을 수강하며 임상약리학 학문의 기초를 다진다. |
임상시험 수행 | 실무 | 임상시험 자원자 설명 및 동의, 임상시험 의약품 투약 및 안정성 평가 |
임상시험 계획 | 실무 | 비교적 간단한 초기 임상시험 기획 및 설계 |
임상시험 결과 분석 | 실무 | 데이터 통계 분석 및 보고서 작성 |
치료적 약물 모니터링 Therapeutic Drug Monitoring, TDM |
실무 |
임상시험 약물을 투약한 후 결과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며 약물의 반응성을 모니터링 |
의과대학 학부생 교육 참여 | 교육 | 학부생 교육 실습을 통해 교육자로써 소양을 증진 |
전공의 2,3년차
이론
: 기본 이론 습득
실무
: 전문 실무 수련
교육
: 교육자적 능력 향상
과업 | 구분 | 설명 |
---|---|---|
계량 약리학 모델링 | 이론 | 기초적인 학과 과목을 수강하며 임상약리학 학문의 기초를 다진다. |
신약 임상개발 교육 | 이론 | 임상시험 자원자 설명 및 동의, 임상시험 의약품 투약 및 안정성 평가 |
임상시험 수행 | 실무 | 전공의 업무 관리, 감독 |
임상시험 계획 | 실무 | 난이도가 높은 초기임상시험 기획 및 설계 |
임상시험 결과 분석 | 실무 | 데이터 통계 분석 및 보고서 작성 |
논문 작성 | 실무 | 논문 작성방법 학습 및 연구 진행 후 논문 투고 |
학부생, 신입 전공의 교육 | 교육 |
신입 전공의 임상교육 및 업무 관리 감독. TDM 타과 의뢰 답변서 검토, 학부생 교육 감독 |
병동 의국 운영 관리 | 교육 | 치프 레지던트 역할 수행 |
약물상호작용, 이상반응, 항암제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 | 실무 | 난이도 높은 임상시험 약물 모니터링. |